4.2.1 콘크리트 현장시험
일반적으로 정밀안전진단에는 항 (1), (2), (3), (4), (5)을 포함한다.
(1) 강도법 : 반발 및 투수시험(Rebound and penetration test)은 콘크리트의 경도를 측정하고 콘크리트 강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한다.
(2) 음파법(Sonic Method) : 기계적 음파법은 층분리나 기타균열을 발견하는데 사용한다.
(3) 초음파법(Ultrasonic Techniques) : 적절한 훈련과 경험을 쌓으면 초음파 기법을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 상태에 관하여 양호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.
(4) 자기법(Magnetic Method) : 자기법은 주로 철근피복두께 및 위치 확인에 사용된다.
(5) 전기법(Electrical Method) : 저항 및 전위법이 있으며 전기적 저항기법은 시설물 바닥판 시일(Seal) 도장의 침투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한다. 철근의 부식은 전위차에 의해 발생되는 부식 셀을 발생시키고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한 하프-셀(half-cell)을 사용하여 하프-셀과 철근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함으로써 부식을 감지할 수 있다.
(6) 원자법(Nuclear Method) : 원자법은 중성자 흡수 및 확산기법에 의해 콘크리트내 수분함량을 추정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.
(7) 자기(自記) 온도게법(Thermography) : 적외선 자기 온도계법은 콘크리트 시설물 바닥판의 층분리를 탐지하는 데 이용되는 보조시험법이다.
(8) 레이다법(Radar) : 지표면 침투 레이다(GPR : Ground-penetraning radar)는 시설물 바닥판의 노후화 및 층분리를 발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.
(9) 방사선법(Radiography) : 감마광선은 콘크리트를 투과할 수 있으므로 필름은 방사선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점검에 사용할 수 있다.
(10) 내시경법(Endoscopes) : 내시경은 콘크리트시설물 부재에 천공된 구멍내부로 삽입된 관찰튜브를 이용하여 다른 방법으로는 볼 수 없는 구조물 내부에 대한 정밀한 검사를 할 수 있다.